-
레버리지투자는 잃는 구조다?!investment & economy 2023. 7. 7. 18:05반응형
레버리지?
간단히 말하면 "빚 내서 투자하는 전략"을 말한다. 따라서, 집 살 때 은행 대출 끼고 사는 것도, 전세금 끼고 사는것도, 스탁론으로 주식 사는 것도, 어떤 형태로든 돈을 빌려서 투자하는 것 모두 레버리지다.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투자전략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대출을 이용한 투자 : 이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레버리지 투자다. 예를 들어, 주택 구매나 주식투자를 위해 은행이나 기타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는 경우다.
레버리지 상품 : 주식 시장에서 레버리지 상품이라고 하면 다른 의미로 쓰인다. 주식 시장에서는 주로 "추종하는 상품의 가격 변동률의 배수(2배~3배 혹은 그 이상)만큼 변하는 상품"을 말한다.
레버리지 ETF : 레버리지 ETF(Exchange Traded Fund)는 기초자산의 수익률을 배수로 표현하는 상품이다. 이는 레버리지 상품과 비슷하지만, ETF는 증권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상품이므로,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거래가 가능하며, 다양한 자산에 대한 레버리지를 적용할 수 있다.반응형
레버리지의 위험성레버리지의 가장 큰 위험은 가격이 하락할 경우 원금보다 훨씬 더 큰 손실을 입을 수 있다는 것이다. 가격이 상승하면 수익률이 배가 되지만, 반대로 가격이 하락하면 손실률도 배가 된다.
예를 들어, '바나나'와 '레버리지 2배 바나나'로 생각해보자.'바나나'의 가격이 100원에서 150원으로 50% 올랐다면, '레버리지 2배 바나나'의 가격은 100원에서 200원으로, 가격 상승률인 50%의 두 배인 100%만큼 올랐을 것이다.
그러나 반대로, '바나나'의 가격이 100원에서 50원으로 50% 떨어졌다면, '레버리지 2배 바나나'의 가격은 100원에서 0원으로, 가격 하락률인 50%의 두 배인 100%가 떨어진다.50%떨어진게 너무 극단적일 수 있어 다른 예시를 들어보자.
100원짜리 사과와 레버리지 3배 사과가 있다고 하자.
사과는 10% 떨어지면 90원이 되고 레버리지 3배 사과는 30%가 떨어진 70원이 된다.
이때 다시 10%가 상승하면 90원 짜리 사과는 99원이 되고, 레버리지 3배 사과는 70원에서 30%가 오른 91원이 된다.
똑같이 하락하고 상승했지만 100원짜리는 1원의 손실이 난 반면 레버리지 3배 사과는 9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이런 상승 하락이 반복되면 사과의 가격은 거의 제자리여도 레버리지는 수익폭이 줄고 손해폭이 커지기 쉽다.
이처럼 레버리지 상품은 가격이 상승하면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가격이 하락하면 큰 손실을 입거나 투자금을 완전히 잃을 수 있다.
따라서 레버리지를 투자하려 한다면 이러한 위험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투자하는것이 중요하다.
숏 스퀴즈(Short squeeze) 현상이란? 어떻게 활용할까?
"숏 스퀴즈"란 주식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주가 하락을 예상했던 공매도 투자자들이 더 큰 손실을 피하기 위해 연쇄적으로 주식을 매수/청산하며 주가가 치솟는 현상을 말한다. 이때는 주식의 고
stocktrees.com
반응형알고리즘 트레이딩과 퀀트투자. 만능일까?
퀀트 투자와 알고리즘 트레이딩은 많은 투자자들로부터 선택받는 투자기법이다. 비슷한듯 조금의 차이가 있는 이 두 기법에 대해 알아보자. 알고리즘 트레이딩은 특정 세트의 명령에 따라 거래
stocktrees.com
반응형'investment &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 엔비디아는 고평가? 그럼에도 투자해야하는 5가지 이유 (0) 2023.07.10 지금 엔비디아에 투자하면 안되는 이유 5가지 (NVDA) (0) 2023.07.08 숏 스퀴즈(Short squeeze) 현상이란? 어떻게 활용할까? (0) 2023.06.26 네 마녀의날 수익 극대화시키려면 알아야 할 것 (0) 2023.06.25 2023 미국 상위주식 300개 1년 성장률 순위 (0) 2023.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