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숏 스퀴즈(Short squeeze) 현상이란? 어떻게 활용할까?investment & economy 2023. 6. 26. 16:35반응형
레버리지투자는 잃는 구조다?!
레버리지? 간단히 말하면 "빚 내서 투자하는 전략"을 말한다. 따라서, 집 살 때 은행 대출 끼고 사는 것도, 전세금 끼고 사는것도, 스탁론으로 주식 사는 것도, 어떤 형태로든 돈을 빌려서 투자하
stocktrees.com
"숏 스퀴즈"란 주식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주가 하락을 예상했던 공매도 투자자들이 더 큰 손실을 피하기 위해 연쇄적으로 주식을 매수/청산하며 주가가 치솟는 현상을 말한다. 이때는 주식의 고평가여부와는 관계없이 주식 가격이 계속 높아지게 된다.
반응형숏 스퀴즈는 특정 주식의 가격 상승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공매도자들이 많은 주식을 강제로 매수하게 만들어 주식 가격을 인위적으로 상승시키는 일종의 기싸움과 같다. 이렇게 주식 가격이 인상되면 공매도 포지션을 청산하려는 투자자들이 주식을 사게 되므로 가격 상승이 더욱 가속화될 수 있다.
최근 유명한 숏 스퀴즈 사건으로, 2021년 1월에 발생한 "게임스탑" 사건을 들 수 있다. 이 사건에서는 레딧의 WallStreetBets 포럼의 개인투자자들이 게임스탑 주식을 대량으로 매수하자고 단합하였으며, 이로 인해 주가가 폭등했다. 결국 게임스탑 주식을 대량으로 공매도한 기관 투자자들은 자신들의 포지션을 청산하게되면서 주식을 매수해야 했고, 이는 주가 상승을 가속화 시켰다. (이것이 숏스퀴즈다)
그러나 이런 방식은 매우 리스크가 큰 전략이다. 공매도자들이 강제로 매수하게 만드는 것은 그들에게 상당한 손실을 끼칠 수 있지만 반대로 공매도자들이 여유자금이 충분하다면 오히려 이 방법이 통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런 현상이 지속되면 시장의 안정성을 저해하고, 그 결과 규제 기관의 개입을 유발할 수 있다. 실제로 "게임스탑" 주가는 잠시 동안 급등했지만, 이후 규제기관의 개입과 여러 일련의 사건들로 인해 급격히 하락하면서 많은 투자자들에게 손해를 입혔다. 이는 숏 스퀴즈가 장기적으로는 주식 가격을 유지할 수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또한, 이러한 시도를 했다가는 미국의 증권거래위원회(SEC)와 같은 규제 기관들의 개입을 부추기는것은 물론이고, 시장 조작이 의심될 경우 특정 주식거래의 제한조치가 이뤄지거나 조사를 받을 수도 있다.
반응형숏 스퀴즈가 발생하는 조건
숏스퀴즈가 어떤 환경에서 발생하는지 알아보자.
높은 공매도 비율 - 공매도 비율이 높을수록 주식을 대량 매도한 투자자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해당 주식에 대한 부정적인 시장의 기대를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이런 주식의 가격이 상승하면, 공매도자들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식을 매수하거나 강제청산 될 수 있다.
갑작스런 긍정적 뉴스 또는 이벤트 - 회사에 대한 긍정적인 뉴스나 이벤트가 발생하면 주식의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갑작스러운 긍정적 변화는 공매도자들을 놀라게 하고, 주식을 급하게 매수하게 만들 수 있다.
매수 흐름의 증가 - 특정 주식에 대한 매수 흐름이 증가하면 그 주식의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 이는 공매도자들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포지션을 다시 맞추거나 결국 주식을 매수청산하게 만들 수 있다.
강제 청산 - 주식의 가격이 계속해서 상승하면, 공매도자들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강제적으로 주식을 매수해야 할 수 있다. 이는 공매도자들의 투자금이 0이 된다는것을 의미하며 이를 피해 손실을 줄이기 위해 경쟁적으로 사다가 누군가의 포지션이 청산되면서 급격한 상승을 보일 수 있다.반응형
결론적으론 주가 상승이 공매도자들의 패닉을 유발하고, 자의적이든 타의적이든 연쇄적인 매수를 일으켜 주가 상승을 촉진하는 악순환을 만들 수 있다.(숏 스퀴즈의 반대 현상을 "롱 스퀴즈"라고 한다. 이는 자산 가격이 급락하면서 주가 상승을 기대하고 매수한 투자자들이 더 큰 손실을 피하기 위해 주식을 매도하게 되는 현상이다.)
투자자들은 숏 스퀴즈에 다양한 전략으로 대응합니다. 일부는 손실을 제한하기 위해 스탑 오더를 사용하거나, 다른 일부는 옵션을 이용해 자신들의 포지션을 헤지한다. 그리고 사실 공매도가 많은 주식은 회사의 전망이 좋지 않다는걸 반증하기도 하므로, 강력한 확신이 없는 한 대규모로 공매도된 주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
숏스퀴즈. 역발상 투자하기
그러나 공매도가 많은 상태에서 회사의 악재가 해소되거나, 긍정적인 변화가 발생하면 공매도 포지션을 청산하려는 투자자들이 많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숏 스퀴즈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게 높아진다.
적어도 스퀴즈는 아니어도 상승여력이 커지면서 분위기가 반전될 수 있으므로 유심히 종목들을 관찰해보는것도 좋다.
이런 가능성을 파악하고 역이용해 수익을 내는 투자자들도 많다. 그럼 무엇을 해야하는지 5가지만 알아보자반응형
공매도 비율 파악공매도 비율은 해당 주식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나타낸다. 공매도 비율이 높다면, 해당 주식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부정적일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투자 전략을 세울 수 있다.
회사의 재무 상태 분석회사의 재무 상태를 분석하여 그 회사의 향후 전망을 예측할 수 있다. 만약 회사의 재무 상태가 호전될 것으로 예상되면, 그 주식의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시장 동향 관찰시장 동향을 주시하여 특정 주식에 대한 매수 흐름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매수 흐름이 증가한다면, 해당 주식의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회사의 뉴스와 이벤트 주시회사에 대한 긍정적인 뉴스나 이벤트가 발생하면 주식의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뉴스나 이벤트를 주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투자 전략을 세울 수 있다.
매수 시점과 매도 시점 결정숏 스퀴즈가 예상되는 주식을 매수하려면 적절한 시점을 결정해야 한다. 주식의 가격이 계속 상승하더라도, 고평가로 인해 가격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숏 스퀴즈가 발생한 후에는 주식을 매도하여 이익을 실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시장 동향을 주시하고, 재무 분석을 통해 적절한 시점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기적으로 전망이 좋아진다고 보면 길게 들고가도 좋고, 대부분의 경우는 수익구간에 진입하고 짧은 시간내에 바로 실현하는것이 좋을 수 있다.
미증시에서 서킷브레이크 활용하기
서킷 브레이크란 무엇인가? 서킷 브레이크는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급격하게 변동할 경우, 이러한 변동성을 억제하고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시장의 거래를 일정 시간 동안 중지시키는 장치
stocktrees.com
반응형알고리즘 트레이딩과 퀀트투자. 만능일까?
퀀트 투자와 알고리즘 트레이딩은 많은 투자자들로부터 선택받는 투자기법이다. 비슷한듯 조금의 차이가 있는 이 두 기법에 대해 알아보자. 알고리즘 트레이딩은 특정 세트의 명령에 따라 거래
stocktrees.com
반응형'investment &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 엔비디아에 투자하면 안되는 이유 5가지 (NVDA) (0) 2023.07.08 레버리지투자는 잃는 구조다?! (0) 2023.07.07 네 마녀의날 수익 극대화시키려면 알아야 할 것 (0) 2023.06.25 2023 미국 상위주식 300개 1년 성장률 순위 (0) 2023.06.23 2023 미국주식 시가총액 순위표 top 100 +α (0) 2023.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