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ment & economy
-
현금흐름표 vs 재무상태표 차이점. 그리고 보는방법investment & economy 2023. 6. 18. 16:20
현금 흐름표(Cash Flow Statement)와 재무상태표(Balance Sheet)는 회사의 재무 상태와 현금 흐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현금 흐름표(Cash Flow Statement) 현금 흐름표는 회사의 현금 및 현금 동등물의 변동을 기록한다. 이 보고서는 특정 기간 동안 회사가 현금을 어떻게 창출하고 사용하는지를 보여준다. 현금 흐름표는 크게 세 가지 섹션으로 구성된다. 영업활동 현금 흐름(Operating Activities Cash Flow)은 회사의 주요 사업 활동과 관련된 현금 흐름을 기록한다. 예를 들어, 매출 수익, 비용, 수금 및 지급 등이다. 투자활동 현금 흐름(Investing Activities Cash Flow)은 회사의 투자 활동과 관련된 현금 흐름을 나타낸다. ..
-
알고리즘 트레이딩과 퀀트투자. 만능일까?investment & economy 2023. 6. 16. 16:40
퀀트 투자와 알고리즘 트레이딩은 많은 투자자들로부터 선택받는 투자기법이다. 비슷한듯 조금의 차이가 있는 이 두 기법에 대해 알아보자. 알고리즘 트레이딩은 특정 세트의 명령에 따라 거래를 실행하는 자동화된 방식이다. 이러한 명령은 미리 정의된 조건(예: 주가, 거래량 등)에 따라 거래를 트리거하거나, 최적의 가격을 찾거나, 빠른 거래를 수행하거나, 거래소측의 시장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로직등이 있을 수 있다. 퀀트 투자는 데이터 기반 접근법을 사용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다. 이는 통계적, 수학적 모델을 사용하여 자산의 가치를 추정하거나, 투자 전략을 최적화하거나, 미래의 수익률을 예측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알고리즘 트레이딩은 퀀트 투자의 한 부분이라고 볼 수도 있다. 퀀트 투자 전략은 알고리즘을 ..
-
ROE에 대해 뜯어보자investment & economy 2023. 6. 15. 15:00
ROE(Return on Equity)는 투자자가 회사에 투자한 자본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지표는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도구로 사용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 자주 활용된다. ROE란? ROE를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ROE = 순이익 / 자기자본 이 공식에서 '순이익'은 기업이 얻은 총 수익에서 운영 비용, 세금, 이자 등을 빼고 남은 순수 수익을 의미한다. '자기자본'은 기업의 자산 중 부채를 제외한 부분이다. 결론적으로 ROE는 순이익이 자기자본에 대해 어느 정도의 비율로 반환되는지를 나타내는것이다. 계산 자체는 간단했지만 ROE를 해석하는데에는 어느정도 내공인 필요하다. 높은 ROE는 일반적으로 기업이 투자된 자본을 잘 활용하여..
-
예측 EPS로 투자 인사이트 발견하는 방법investment & economy 2023. 6. 14. 22:00
실적발표와 예측 EPS는 종목투자에 있어서 모르면 안될 지표이다. 일단 예측 EPS란 무엇인지 하나씩 알아가보자. estimated EPS는 어떤 과정을 통해 산출되나? 예상 EPS(estimated EPS)는 기업의 재무정보와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미래의 수익을 예측하는 지표다. 예상 EPS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여러 사항이 고려된다. 1. 수익성 분석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것이 예상 EPS 산출의 첫 단계이다.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과 같은 재무지표를 분석하여 기업의 현재 수익 상태를 파악한다. 2. 산업 및 경제 분석 기업이 속한 산업과 경제 전반의 동향을 파악한다. 산업의 성장률, 경기 사이클, 관련 법규 제도, 경쟁 상황 등을 고려하여 예상 EPS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 또한 이해해..
-
PER과 PBR은 무엇인가?investment & economy 2023. 6. 13. 17:00
주식 투자 시 PER (주가 수익비율)과 PBR (주가 순자산비율)은 주식의 가치를 판단하고 분석하는 데에 요긴하게 쓰이는 중요한 지표이다. PER은 주가가 주식 1주당 순이익에 대해 얼마나 비싼지를 나타내며, PBR은 주가가 기업의 순자산에 대해 얼마나 비싼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지표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을 받아보자. # PER 먼저 PER은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비율로, 주가가 기업의 수익에 비해 얼마나 높거나 낮은지를 나타낸다. 낮은 PER은 주식이 저평가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고, 높은 PER은 고평가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PER 계산: PER은 주가를 주당 순이익(EPS)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만일, 주가가 10,000원, 주당 순이익이 1,000원이라면?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