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ER과 PBR은 무엇인가?investment & economy 2023. 6. 13. 17:00반응형
주식 투자 시 PER (주가 수익비율)과 PBR (주가 순자산비율)은 주식의 가치를 판단하고 분석하는 데에 요긴하게 쓰이는 중요한 지표이다. PER은 주가가 주식 1주당 순이익에 대해 얼마나 비싼지를 나타내며, PBR은 주가가 기업의 순자산에 대해 얼마나 비싼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지표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을 받아보자.
# PER
먼저 PER은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비율로, 주가가 기업의 수익에 비해 얼마나 높거나 낮은지를 나타낸다. 낮은 PER은 주식이 저평가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고, 높은 PER은 고평가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 PER 계산: PER은 주가를 주당 순이익(EPS)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만일, 주가가 10,000원, 주당 순이익이 1,000원이라면? 10,000/1,000 = 10 으로 계산된다.
# PBR
그리고 PBR은 주가를 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비율로, 주가가 기업의 순자산에 비해 얼마나 높거나 낮은지를 나타냅니다. 낮은 PBR은 기업의 가치가 주가보다 저렴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높은 PBR은 고평가되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PBR 계산: PBR은 주가를 주당 순자산(BPS)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만일, 주가가 10,000원이고 주당 순자산이 5,000원인 경우? 10,000/5,000 = 2로 값을 도출할 수 있다.
# PER, PBR 지표 활용해서 분석하기
일단 PER이 낮으면 주식은 저평가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투자자들이 기업의 수익성에 대해 비관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PER이 너무 낮으면 기업의 잠재적인 문제나 불확실성을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다른 지표와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PBR도 낮으면 주식은 저평가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주가가 기업의 자산보다 평가적으로 저렴하게 거래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PBR만으로 기업의 가치를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PER과 마찬가지로 다른 지표와 함께 고려해야한다.
# PER과 PBR을 활용한 투자의사결정 - 비슷한 업종, 같은 섹터의 다른 종목들과 비교하라.
- 업종 및 기업간의 비교: 비슷한 업종의 기업들끼리 PER과 PBR을 비교하여 저평가된 기업을 찾을 수 있다. 특정 기업의 PER이 업종 평균보다 낮고 PBR이 낮다면 해당 기업은 비교적 저평가되었을 수 있는것이다.
- 시간 경과 추이 분석: PER과 PBR은 시간에 따라 변동할 수 있다. 따라서 PER과 PBR이 일정한 추세를 보이는 경우, 해당 추세를 이용하여 향후 주가 변동을 예측하는것도 방법이다.
- 기업 실적 분석과 함께 활용: PER과 PBR은 기업의 재무제표와 연관하여 분석하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주당 순이익(EPS)이나 주당 순자산(BPS)이 감소하는 경우, PER과 PBR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기업의 실적 분석과 PER, PBR 분석을 함께 고려하여 종합적인 판단을 하면 적절한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된다
PER과 PBR은 기업투자 의사결정시 강력한 수단이 되지만 한편으로는 단순히 저평가 또는 고평가 여부를 나타내는 지표일 뿐이다. 따라서 기업의 실적, 경쟁력, 산업 동향 등 다른 요소들을 면밀히 고려하는것이 중요하다.
또한 PER과 PBR은 단기적인 주가 변동/경제 이벤트 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으므로,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다른 지표와 함께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반응형'investment &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PER과 PEGR(주가수익성장비)로 투자 인사이트 얻기 (0) 2023.06.19 현금흐름표 vs 재무상태표 차이점. 그리고 보는방법 (0) 2023.06.18 알고리즘 트레이딩과 퀀트투자. 만능일까? (0) 2023.06.16 ROE에 대해 뜯어보자 (0) 2023.06.15 예측 EPS로 투자 인사이트 발견하는 방법 (0) 2023.06.14